신경치료를 다시 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연신내역 신경치료 맛집, 우리 가족 주치의 정치과보존과치과입니다.
본원이 보존과치과다 보니 신경치료에 관련한 문의가 많이 옵니다.
그 중에서도 전 치과에서 신경치료를 했는데 아프다며 오신 분들이 다수입니다.
자연 치아를 살릴 수 있는 최후의 수단이 신경치료입니다.
그래서 신경치료를 했던 치아가 통증이나 염증이 재발하면 발치해야 된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신경치료를 했던 치아는 모두 뽑아야 할까요?
오늘은 신경치료 중에서도 재신경치료!!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신경치료를 받았는데도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통증이 발생할까요?
1. 근관에 신경이 남아있는 경우
신경치료는 생각보다 간단한 치료가 아닙니다.
신경이 나무뿌리같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경우에는 모든 신경을 찾아서 깨끗하게 제거하기 굉장히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근관에 여러개의 신경이 있거나 C형의 기형 근관일 때
근관을 찾지 못하거나 치료하지 못하여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신경의 뿌리 끝까지 충전재를 채우지 못한 경우
신경이 중간에서 막혀 있어 뿌리 끝까지 염증을 치료하지 못하고 남겨놨거나, 충전재를 완벽하게 밀폐하여 채우지 못해 빈틈으로 세균이 감염될 수 있습니다.
3. 2차 충치가 생긴 경우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을 씌웠더라도 평소 관리가 부족한 경우, 크라운 안으로 충치가 생길 수 있습니다.
크라운 안쪽에 생긴 충치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충치가 이미 많이 진행되어도 염증이 생기기 전까지 모르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4. 신경치료 완료 후 크라운을 하지 않은 경우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하지 않으면 미세 틈을 따라서 세균이 유입되거나, 치아 뿌리에 균열이나 파절이 되어 염증이 재발이 되기도 합니다.
재신경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보존과 전문의에게 처음 신경치료를 받은 경우 신경치료의 성공률은 거의 90%입니다.
하지만 재신경치료의 경우 70%의 성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만큼 치료의 난이도가 높아집니다.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에 포스트가 박혀있다면 치료는 더 어려워집니다.

재신경치료의 과정
1. 통증과 염증의 원인을 찾습니다.
2. 전에 신경치료할 때 넣었던 모든 충전물을 깨끗하게 제거합니다.
3. 근관 내 세균을 줄이기 위하여 충분히 소독하고 염증의 원인을 제거합니다.
4. 근관 내부가 깨끗해졌다고 판단이 되면 신경관 길이에 맞게 충전재로 밀폐합니다.
5. 새로운 크라운을 씌워 줍니다.
정치과보존과치과의 미세현미경 ROOM
정치과보존과치과는 미세현미경을 사용하여 신경치료를 진행합니다.
신경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신경관이 나무뿌리의 잔가지처럼 얽혀있기 때문입니다.
미세현미경은 최대 25배까지 확대가 가능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휘어지거나 잔가지의 신경관을 찾아내고
복잡한 근관을 단순하게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보다 완성도 높은 치료의 진행이 가능합니다.

일부에서는 신경치료 후 통증이 생기거나 난이도가 높은 신경치료의 경우, 쉽게 발치 후 임플란트를 권하기도 합니다.
정치과보존과치과는 대학병원 수준의 기구와 첨단 장비에 실력을 더해서 최대한 자연치아를 살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경치료한 치아가 아프고 불편하신가요?
치아를 발치해야 된다고 진단받으셨나요?
자연치아를 계속 사용하고 싶으신가요?
재신경치료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신경치료 맛집, 북한산 뷰를 자랑하는 연신내역 정치과보존과치과로 문의해주세요.
친절하고 정확한 상담으로 도와드리겠습니다.
'임상포스팅 > 근관치료(신경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복지부 인증 보존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보존치료 (0) | 2022.05.13 |
---|---|
통증없는 치과치료 (0) | 2022.04.20 |
[정치과보존과치과] 은평구 보존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신경치료 (0) | 2022.03.22 |